변동금리 고정금리 선택 방법
우리가 돈을 빌려줄 때 사용기간과 비례하여 발생하는 것을 이자라고 합니다.
이자를 다른 말로 금리라고 하는데요
금리는 우리가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나 돈을 맡길 때 가장 먼저 신경 쓰는 것이며 금리의 종류에 따라 금융상품을 선택에 변화가 생기기도 합니다.
먼저 은행이 어떻게 수익을 내는가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대출금리는 예금이나 적금 금리보다 높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은행은 그 차익으로 수익을 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금리가 낮다는 이야기는 경기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금리가 낮을 때는 일반 사람들은 은행에 돈을 맡기기 보다 다른 주식과 같은 다른 재테크 수단을 찾지만 반면에 기업은 대출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가 높아지면 일반 사람들은 은행 저축률을 높이지만 기업의 투자는 줄어들 수 있습니다.
금리의 변화를 이러한 한 방향으로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선진국은 금리가 낮은 편이지만 개방 도상국은 금리가 높습니다. 금리가 높다는 이야기는 아직까지 성장할 여지가 남아있다는 이야기로 해석됩니다.
이렇게 금리의 개념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변동금리와 고정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정금리는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과 같이 시중금리의 변화가 생기더라도 이자율은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채권형 펀드나 CMA 통장처럼 가입 기간 내 이자율이 수시로 변하는 것을 변동금리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고정금리가 대출 초기 금리가 변동금리 보다 높기 때문에 더 낫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시장의 상황과 상품의 종류에 따라 변동금리가 유리하게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반적인 향후 경제 상황을 파악하여 적절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됩니다.